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북클럽
- 노마드코더
- CU
- django
- transaction
- 투자
- 재태크
- 사업
- iamport
- Rails
- Race Condition
- redis
- 레일즈 캐시
- rails cache
- 주식
- memcached
- 노개북
- 레일즈
- HTTP
- restful
- API
- trouble shooting
- redis transaction
- Python
- 노마드코드
- 경제
- Watcha pedia
- Cache
- 아임포트
- Today
- Total
목록Ruby on Rails (4)
Stay hungry, Stay foolish

decimal 로 설정하기 싫었으나 어찌 표현할 방법이 없어서 decimal 로 저장한 column 이 생겼다. 출력해보니 0.5 => 0.5e0 같이 지수로 저장되어 있더라.. 컴퓨터에서 decimal 로 연산하면 100% 정확한 값을 얻기는 어렵다. 예를 들어 0.1 + 1.1 == 1.2 -> false 가 나온다. 이렇다고 한다... 왜일까 실수의 저장 컴퓨터는 모두 2진수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통신한다. 정수의 경우에는 2 -> 00000010, 20 -> 00001100 이런식으로 2진수로 저장하는데 무리가 없다. 하지만 실수의 경우에는? 2의-1승 은 0.5 -2승은 0.25 -3승은 0.125 -4승은 0.0625 ... 10진수 0.125 는 2진수 0.001 로 표현하면 된다. 하지만 1..
내가 실무에서 사용하는 프레임워크인 Ruby on Rails 의 소개글을 읽어보자 https://dhh.dk/2012/rails-is-omakase.html https://rubyonrails.org/doctrine David Heinemeier Hansson 레일즈를 창조하신 개발자님께서 직접 작성한 글이다. 레일즈는 오마카세다! 레일즈 개발자가 표현한 레일즈란 이렇게 표현할 수 있다. 오마카세라는것이 쉐프가 각각의 코스요리 메인디쉬, 디저트, 음료 등 밸런스를 고려해서 구성을 해놓는 것인데 내 해산물 오마카세에서 난 해산물이 싫어 핫도그 먹고싶어!! 이런다고 핫도그가 나오지는 않는다. 물론 샴페인에서 화이트 와인으로 바꾼다던지 하는 정도의 선택권은 있을 수 있다. 레일즈라는 프레임 워크가 딱 이렇다...
[String이란] 문자열(s,t,r과 같은 문자의 배열)을 저장하기위한 데이터타입 [String 선언] 루비에서는 앞서 포스팅한 것처럼 데이터타입을 선언하지않고 데이터를 변수명에 집어넣으면 선언 완성! str = "문자열" [String 관련 메서드] String을 활용하여 어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. 기본값 : str = "Hello" #는 주석처리이므로 메서드(코드)와는 아무런 상관없음, 주석 처리된 부분부터는 코드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음(#의 주석처리는 그 행만) 1) str * 3 #=> HelloHelloHello 2) str Hello World 3) str.concat("World") #=> Hello World 4) str "Hello" #=> str과 Hello가..
[Array란] - 같은 종류의 값들을 한 변수(배열타입)에 넣어둘 때 사용함 - [ ] (대괄호)를 사용하여 묶고, ,(쉼표)를 사용하여 배열 안에 들어가는 개별 요소를 구분함 [Array 기본] - 선언하기 1) 변수명 = [요소1, 요소2, 요소3] 2) 변수명 = Array.new # => 빈 배열의 변수를 만듬 3) 변수명 = Array.new(요소갯수) { Hash.new } # => [ { }, { }, { }, { } ] - 빈 해시 4개가 들어가는 하나의 배열을 만듬 4) 변수명 = Array.new(3) { Array.new(4) } # => [ [1, 2, 3, 4번째 요소], [1, 2, 3, 4번째 요소], [1, 2, 3, 4번째 요소] ] 5) 변수명2 = Array.new(A..